중환자실(ICU, Intensive Care Unit)은 생명 유지 장비가 끊임없이 작동하며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관찰하는 특수 부서입니다. 본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신규 간호사와 간호학생이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ICU 필수 의학용어를 정리했습니다.
모니터링 및 활력징후 관련 약어
BP(혈압), HR(심박수), RR(호흡수), BT(체온), SpO₂(산소포화도), MAP(평균동맥압), CVP(중심정맥압), ABGA(동맥혈가스분석), FiO₂(흡입산소농도), PaO₂/PaCO₂(산소·이산화탄소 분압), NIBP/IBP(비침습·침습 혈압), CPR(심폐소생술), V/S check q1hr(1시간마다 활력징후 측정).
예: “Maintain MAP ≥ 65 mmHg, monitor V/S q30min.”
약물·수액·라인 관련 약어
IV(정맥주사), IM(근육주사), SC(피하주사), PO(경구), PRN(필요시), NPO(금식).
C-line(중심정맥관), A-line(동맥관), PC line(피하카테터), KVO(정맥유지속도), TPN(총정맥영양), NS(생리식염수), D5W(포도당수액), RL(락트산 링거).
예: “Change C-line dressing q48hr, keep KVO at 20ml/hr.”
검사, 처치, 상태 기록 약어
CBC(혈액검사), BUN/Cr(신장기능), LFT(간기능), Na/K/Cl(전해질), PT/aPTT/INR(응고검사), BS(혈당), CXR(흉부X선), EKG(심전도), MRI/CT(영상검사).
Pt(환자), Dx(진단), Tx(치료), DNR(심폐소생술 금지), GCS(의식수준), RASS(진정척도), D/C(퇴원·중단), s/p(~후 상태).
예: “Pt s/p CRRT, GCS 11, O₂ via NRBM @10L/min.”
ICU는 환자의 생명을 직접 다루는 부서로, 약어 숙지는 환자 안전관리의 첫 단계입니다. 신규 간호사는 활력징후 → 수액 → 기록 순으로 체계적으로 익히며, 맥락 이해를 통해 실무 적응 속도를 높여야 합니다.